본문 바로가기
포켓몬 GO | 포켓몬 분석

포켓몬고 기가임팩트 레지기가스, 록온 레지스틸, 레지아이스, 레지락 분석

2019. 11. 2.

 

 

 

 

포케토리 | 포켓몬스터 정보, 행사, 소식

포켓몬 GO 최신 정보는 포케토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oketory.com

 

안녕하세요! 👋 현재 포케토리 사이트는 Poketory.com으로 이전하여 정보가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최신 사이트 방문하시고 정보 놓치지 마세요! 

 

 포켓몬고 기가임팩트, 록온 분석


 11월 1일 오후, 기술 2개의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둘 다 노말 타입으로, 스페셜 기술인 '기가임팩트'와 노멀 기술인 '록온'이 대상입니다. 기가임팩트의 경우 11월 2일 레지기가스의 추가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성능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추가된 데이터는 기가임팩트의 PvE, PvP 정보와 록온의 PvE 정보입니다. 둘 다 11월 1일 기준 구현되지 않았으며, 기가임팩트만 11월 2일 구현될 것입니다.



 

 1. 기가임팩트의 성능


기가임팩트

체육관, 레이드

트레이너 배틀

유형

스페셜 기술 (Charge moves)

타입

노말

위력

200

150

에너지

100

80

발동시간

4.7초

-

대미지

2.4초

-




Advertisement
 



 

 2-1. 기가임팩트 레지기가스의 분석


 원작에서 레지기가스는 5턴 동안 움직이지 못한 뒤 나중에 배틀에 임할 수 있는 '슬로스타트' 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기가임팩트 역시 한 번 사용하면 사용자는 한 턴동안 움직이지 못하는 효과를 갖고 있습니다.


 포켓몬고에서 이를 반영한 듯 레지기가스의 노멀 기술인 '잠재파워'와 '사념의박치기' 모두 에너지를 매우 느리게 채우는 기술이고, 스페셜 기술인 '기가임팩트'는 사용시 2.4초 후에 대미지가 들어가고, 나머지 2.3초 동안 움직이지 못하는 쿨타임을 갖고 있습니다.


 즉, 기가임팩트는 에너지를 늦게 채우고, 사용 후에도 반동이 심한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다크라이 (바크아웃 / 섀도볼) 레이드에서 레지기가스의 DPS는 이 정도와 비슷합니다.



예 : 다크라이 레이드 (바크아웃 / 섀도볼)

포켓몬

기술

DPS

TDO

괴력몬

카운터

폭발펀치

100%

100%

레지기가스

잠재파워

(벌레, 격투)

기가임팩트

79%

200%

레지기가스

(약간구름)

기가임팩트+

88%

222%



 보시면 아시겠지만 PvE에서 활약하려면 제약이 상당히 많습니다. TDO는 나쁘지 않지만, DPS 때문에 나쁘지 않은 활약을 하려면 약간구름 날씨가 필수여야 하고, 나머지 날씨와 기술일 때는 다른 포켓몬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그렇기에 운이 좋아 해당 조건이 맞춰지는 경우가 아니라면 PvE에서 사용할 일은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11월 2일 기술이 바위깨기에서 잠재파워로 바뀌면서 하향을 당했습니다. PvPoke에 의하면 마스터리그 예상 19위에서 43위로 떨어졌고, 레지기가스는 실제로 사용될 일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Advertisement
 



 

 2. 록온의 데이터


록온

체육관, 레이드

트레이너 배틀

유형

노멀 기술 (Fast moves)

타입

노말

위력

1

1

에너지

5

5

발동시간

0.3초

-

대미지

0.17초

-



 

 2-1. 록온의 평가


 록온의 위력이 8에서 1로 변경되었습니다. 2019년 9월 28일 밸런스 패치 당시와 비교해서 에너지와 발동시간의 경우 그대로이고, 대미지가 들어가는 데 0.17초가 걸립니다. 


 현재까지의 데이터만 보면 벌레 타입의 연속자르기, 머드숏 이상의 속사기로, 에너지를 채우는데 효과적이지만 대신 위력이 1로 밸런스를 맞춘 기술로 보입니다. 이는 원작에서 록온이 공격 기술이 아니라는 점에서 주목한 이유일 수도 있습니다.



 

 2-2. 록온 레지스틸, 레지아이스, 레지락 분석


 11월 2일 레지스틸, 레지아이스, 레지락의 새로운 기술로 '록온'이 추가되었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에너지를 채우는데 특화된 기술로, 이후 PvP에서 레지 트리오의 티어가 매우 높아졌습니다.


 먼저 슈퍼리그부터 보겠습니다. PvPoke에 의하면 레지스틸 (#1), 레지아이스 (#14), 레지락 (#17)입니다. 특히 레지스틸과 레지락의 상향으로 지금까지 1티어를 유지하고 있었던 파비코리와 바리톱스가 상대적으로 하향되도록 의도한 것처럼 보입니다.


 하이퍼리그에서는 레지스틸 (#1), 레지아이스 (#5), 레지락 (#6) 입니다. 레지스틸과 레지아이스는 하이퍼리그에서도 티어가 높았던 기라티나 (어나더폼)와 토게키스, 망나뇽의 카운터가, 레지락은 레지아이스와 망나뇽, 토게키스의 카운터가 될 것입니다.


 마스터 리그에서는 드래곤, 비행 타입이 많은 이상 레지아이스의 순위가 조금 더 올라갑니다. 순위는 레지아이스 (#11), 레지락 (#13), 레지스틸 (#23)입니다. 여기서도 레지아이스는 망나뇽, 토게키스의 카운터가 될 것입니다.


 종합적으로 평가하자면 록온으로 인해 레지 트리오의 PvP 티어가 많이 상승했습니다. 특히 레지스틸의 경우 슈퍼, 하이퍼리그 1티어는 확정이고 나머지 포켓몬도 상당히 괜찮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포케토리

Gugomah.tistory.com



방문 감사합니다! 애드블록 해제는 블로그 운영에 도움이 됩니다.

많은 공유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

댓글


맨위로 이동